Soeun Sim

국제정치사상이란 무엇인가

국제정치사상에 대한 첫번째 이해
Sep 7, 2025
국제정치사상이란 무엇인가

1. 국제정치사상이란 무엇인가?: 전통적 접근

국제정치 + 사상

“국제정치”를 사상의 대상으로 삼음

  1. 국제정치라는 고유한 영역의 존재론적 지위를 인정함
  1. 이런 맥락에서 ‘국제정치’를 이론화 하는 국제정치이론과 유사함
  1. 국제정치사상(thought)과 국제정치이론(theory)의 차이
    • 일반적으로 사상은 이론을 심화한 것 혹은 이론의 역사적 전통
    • 이론은 보다 분석적 실증적 vs. 사상은 규범성을 포함
  1. 국제정치이론과 국제정치사상의 일반적 예
    • 현실주의와 투키디데스
    • 자유주의와 로크
    • 정전론과 아퀴나스
    • 국제법 이론과 그로티우스
    • 민주평화론과 칸트

국제 + 정치사상

‘정치사상’을 ‘국제적으로‘ 접근함

  1. 주로 국제정치와 관련된 저작을 남긴 사상가의 사상 (ex. 투키디데스, 그로티우스)
  1. 정치사상가의 여러 저작 가운데 국제정치를 다룬 저작에 담긴 사상 (ex. 칸트의 <영구평화안>,
    밀의 <불간섭주의>, 루소의 <전쟁상태론>
  1. 정치사상가의 저작 안에서 국제정치를 다룬 부분에 나타난 사상 (ex. 루소의 <불평등 기원론>
    에서의 ‘사슴사냥’ 이론
  1. 정치사상 저작 안에서 국제정치의 본질을 유추(혹은 확대 해석)할 수 있는 부분이 담긴 사상 (ex.
    홉스, 로크의 자연상태론에서 국제정치의 본질을 유추하는 것)

2. 전통적 접근에서 새로운 접근으로

국제정치사상에 대한 전통적 접근

  1. 국제정치+사상 혹은 국제+정치사상을 엄밀하게 구분하지 않음
  1. 국제정치사상은 국제정치이론, 혹은 정치사상의 보조적인 주변적인 영역으로
    간주됨
  1. 전통적인 정치사상은 정치공동체의 고립주의, 혹은 세계국가를 상정함
  1. 따라서 전통적인 정치사상은 복수의 정치공동체 간의 관계 즉, “국제” (international)에 대한 사상을 인정하지 않음
  1. 국제정치사상의 독자 영역을 부정함

국제정치사상에 대한 새로운 접근

  1. 정치사상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이해에서부터 재출발
  1. 정치사상이란 공동체적 삶의 운영(지배) 원리에 대한 사유
  1. 특히 공동체 구성원의 좋은 삶(best life)을 위한 공동체의 지배원리에 대한 사유
  1. 정치사상의 궁극적인 목적은 좋은 삶(best life)을 위한 최선의 정체(best regime)를 찾는 것
    • 그런데 최선의 정체(best regime)에 대한 탐구는 대내적 문제 뿐 아니라, 대외적 (국제적) 조건이 전제되어야 함
    • 정치사상은 궁극적으로 국제관계에 관여할 수 없음
    • 따라서 모든 정치사상은 근본적으로 국제정치사상이어야 함
    • 국제정치사상을 주변적이거나, 수단적으로 간주하는 것은 정치사상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한 것

새로운 접근이란

  1. 핵심적인 질문은 “좋은 삶이란 무엇인가?”
    • 최선의 정체도 국제관계도 모두 좋은 삶을 실현하기 위함
  1. 그러나 좋은 삶(good life)가 무엇인지 불확실함
    • 좋음(the good)에 대한 지혜가 선행되어야 함
    • 좋음에 대한 범주를 탐구해야 함
    • 이 범주에 “국제”(international)는 필수적
    • 국제정치사상은 영혼에서부터 자연(우주)의 동심원적 구조 속에서 탐구되어야 함

3. 새로운 접근과 고대-근대의 대화

근대-고대 정치사상의 대화(dialogue)의 필요성

  1. 동심원적 환경이 우리에게 낯선 이유는?
    • 전통적인 국제정치사상(이론)이 근대적 사고에 젖어 있기 때문임
  1. 근대정치사상이란
    • 좋은 삶의 문제에서 개인의 생존과 권리(자유, 평등)의 보장으로 초점이 전환됨
    • 개인의 권리 보장을 위한 사회계약, 사회계약에 따른 국가의 성립과 유지(국가이성) 최우선 과제
    • 국가 주권에 대한 고정적 사고 (근대적 주권은 다분히 신화적 요소가 있음)
    • 주권국가의 존재를 전제로 국제관계의 객관적 실체가 있다고 가정함 → 국제에 관한 고정적
      사고가 고착됨
  1. 근대적 편견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
    • 근대이전의 고전정치철학을 돌아갈 필요가 있음
    • 고전정치철학은 정치사상과 국제정치사상의 구분이 존재하지 않음
    • 궁극적으로 고대와 근대의 대화가 필요함!

4. 새로운 국정사: 좋은 삶을 중심에 둔 국정사

좋은 삶의 국제정치사상으로 가능한 질문들

  1. 소속과 정체성 문제
    • 좋은 삶을 위해서라면 타국으로 이주해도 될까?
    • 좋은 삶을 위해서 굳이 특정 국가의 시민일 필요가 있을까?
  1. 국가의 도덕성 문제
    • 국가가 대외적으로 행한 부도덕한 행위는 나의 좋은 삶과 무관한가?
    • 예컨대, 타국에 대해서 부정의를 행하면서 국내적으로 풍요와 권리를 보장한다면, 이런 국가의 행위는 장려할 만 한가?
  1. 경계의 문제
    • 타국에서 벌어지는 비인간적 행위는 나의 좋은 삶의 추구와 무관한가?

5. 국제정치사상의 궁극적 목적

국제정치사상사(History of political thought)를 통해서 현대적 교훈을 얻는 것

  • 대상의 본질에 대한 탐구 (ex. 인간본성, 국제관계의 무정부성)
  • 동일한 현상에 대한 보편적 관찰 (ex. 제국의 사이클, 평화주의의 한계)
  • 실천 영역에서의 실천적 지혜 (prudence)를 발휘

결국, 보편적 지혜에 대한 탐구

6. 국제정치사상의 연구 방법

  1. 역사주의를 극복해야 함
    • 현재주의(presentism)에 매몰되지 말아야 함
    • 역사 연구의 궁극적 목적으로서의 보편적 교훈 찾기
    • 궁극적으로 현재적 교훈을 얻기 위함이지만, 각 시대의 사상은 그 시대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함
    • 현재적 교훈은 직접적인 처방이라기보다 무엇이 근본문제인가에 대한 진단
  1. 무엇을 주목할 것인가? 컨텍스트 or 텍스트
    • 컨텍스트: Psychoanalysis/ personal history/ political/ economic/ cultural/ intellectual context (History of ideas) → 컨텍스트에 대한 주의가 역사주의로 전락하지 않도록 해야 함
    • 텍스트: 엄밀한 해석 (close reading): “얼마나 세밀하게?”
  1. 시대를 초월한 author와 audience의 연결고리로서의 텍스트
    • 만약 보편적 교훈을 목적으로 했다면, 동시대인들 뿐 아니라 후대인들에게도 메시지를 전달
    • 무엇이 효과적인 전달 방식인가? Esoteric Writing/ Reading between the lines